저는 이 책에서 말하는 '숙련된 독서가'는 아니지만, 독서를 휴식이나 배움의 도구로 활용하는 정도의 독서가로 자라났습니다. 딱히 부모님께 풍부한 책을 제공받진 못했지만, 우연히 초등학교에서 교실에 비치된 몇 권의 책을 읽으며 책이 주는 재미를 깨달은 것이 독서 지속의 계기가 되었어요. 초등학교 때는 그렇게 학급 문고에서 재미 위주로 책을 읽다가 중, 고등학교 시절에는 공부 때문에 거의 책을 읽지 못했던 것 같아요.

공부머리 독서법을 읽고

요즘 아이들, 책 속의 글귀를 소리 내어 잘 읽어내긴 하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고 하죠.

문자를, 글자 그대로 그저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행간의 의미를 "생각" 하고 "유추" 하고 "이해" 하며 천천히 읽는 것이 진짜 독서인데, 우리는 그 부분을 너무 놓치고 있었던 것 같아요. 저도 그렇고요.

 

하루에 몇 권의 책을 읽혔냐, 안 읽혔냐 이 정도만 체크하고 넘어가도 엄마 진이 빠지는 게 사실이잖아요.

공부머리 독서법에서는 아무리 묵독을 할지라도 소리 내어 읽는 속도보다 절대 빨라서는 안 되며, 생각하며 천천히 읽는 "진정한 독서"를 통해 제 연령 수준(또는 그 이상)의 언어 능력을 갖춰야 함을 강조합니다.

 

그 언어능력이 바탕이 되어야만, 제 학년의 교과서나 문제집을 무리 없이 제대로 이해하고 풀어낼 수 있다고 진단하고요. 어릴 때부터 사교육으로 무장된 아이들이 중등, 고등을 거치며 성적이 떨어지는 이유가 바로 독서를 등한시해서 지금 수준에 맞는 언어능력으로 끌어올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요.

초등학교 6학년 수준의 언어능력을 가진 아이가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가 이해가 안 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죠! 그래서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라도 꾸준한 독서가 필수적인 것이고요.

 

머리가 뎅- 하고 울리더라고요. 요새 복습 차원에서 수학 문제집 풀어보면 아이가 문제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엉뚱한 풀이를 하는 경우가 있었거든요.

도대체 왜 이럴까 답답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생각해 보니 아들의 언어능력이 떨어져서 그런 거구나 싶어요. 글을 읽을 줄은 알지만, 이게 뭘 묻는 것인지 이해를 못 한 거죠.

인상 깊은 구절

사교육을 받으면 읽고 이해할 필요가 현저히 줄어듭니다. 강사의 설명을 듣고, 문제를 풀고, 틀린 문제에 대한 설명을 듣고, 다시 풀면 되죠. 읽고 이해하는 공부가 아니라 듣고 이해하는 공부를 하는 겁니다. 그런데 듣고 이해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 근본적인 결함이 있습니다. 일단 시간이 너무 많이 듭니다.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면 10분이면 끝날 공부도 강사의 설명을 들으면 1시간이 걸립니다.

 

사교육의 두 번째 결함은 '읽고 이해하는 경험'을 극단적으로 줄인다는 점입니다. 터무니없이 독서량이 부족한데 공부마저 '듣고 이해하는 방식'으로 합니다. 읽기 능력을 훈련할 기회가 턱없이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 아이들은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중학생이 됩니다. 수업을 들으면 뭔가 알 것 같은데 교과서를 펼치면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는 이상한 상태에 빠지는 거죠.

 

책 읽기, 특히 이야기책 읽기를 좋아하느냐 싫어하느냐는 취향의 문제라기보다는 능력의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야기를 아무리 좋아해도 이해가 안 되면 죽었다 깨도 책을 읽을 수 없습니다. 반대로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아도 읽는 족족 이해가 되면 재미까지는 아니더라도 읽을 만은 합니다. 이것이 준우가 첫 수업부터 책을 읽지 못한 이유이자 초등 시절 내내 독서 상태가 나빴던 이유입니다. 말썽꾼이고 게을러서 책을 안 읽었다기보다는 이해할 능력이 없어서 못 읽었던 거죠.

 

중학교 교과서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언어능력만 갖추어도 얼마든지 부족한 기초를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진짜 중요한 기초는 아이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지식이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 글을 읽고 이해하는 언어능력입니다.

 

책을 읽을 때 뇌가 전방위적으로 활성화된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이미 확인되었습니다. 머리는 쓰면 쓸수록 좋아집니다. 책 읽기는 머리를 활발하게 쓰는 활동입니다. 독서야말로 두뇌를 업그레이드하는 가장 쉽고 훌륭한 방법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