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어린 시절에 몸으로 체화해야 할 단 하나의 지식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모든 지식은 원인과 결과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라는 사실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며, 그 지식 블록의 완성을 위해서는 모든 것에 '왜?'라고 물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조건 외우는건 큰 의미가 없다.

어려서부터 지식의 구조를 내면화하지 못한 아이, '왜?'라고 물을 수 없는 아이는 지식을 다루는 방법을 모른다. 지식을 만나면 그냥 외운다. 지식이 아니라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다. 이렇게 입수한 정보는 맥락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잊게 되고, 기억한다 해도 암기력 향상 말고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

 

학교 공부와 연결해서 얘기하면 지식의 구조를 내면화하지 못한 아이는 사회, 과학계열 공부를 잘하기 힘들다. 지식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없고, 단련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외우는 수밖에 없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재미가 없으며 고통스럽다. 설령 객관식 문제는 잘 푼다 하더라도 서술형 문제에서는 틀릴 가능성이 높다. 수능시험에서는 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수능은 '네가 아는 지식을 활용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냐?'를 묻기 때문에 지식을 상호 연결하지 못하면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없다. 공부 외적으로도 마찬가지다. 성공한 사람들은 왕성한 호기심을 가진 경우가 많다. 호기심이 많다는 것은 원인에 대해 궁금해한다는 것을 뜻한다. 때문에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진다. 그래서 자신이 하는 일을 입체적으로 고민할 수 있고, 새로운 돌파구도 마련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우리의 공교육은 '왜?'라고 묻기 힘든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사실을 알려주지만 원인에 대해서는 큰 공을 기울이지 않는다. 지식의 기본 구조를 무시하는 교육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결과만 알려주고 '기억하라'라고 하는 교육을 주입식 교육이라고 한다. 주입식 교육의 문제는 지적 능력이 발달하지 못한다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공교육 위기의 핵심 요인이기도 하다. 교육제도를 자꾸 바꾸는 것은 이런 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몸부림이다.

핀란드의 교육 수준

핀란드의 교육이 우수한 이유는 지식의 구조화를 공교육 시스템 안으로 제도화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교과서를 읽은 후 연관된 과제를 주고 그 과제를 지식 도서를 읽으며 해결하는 수업, 교과서를 통해 접한 정보의 원인을 지식 도서를 통해 규명하는 수업 등을 할 때마다 아이들은 지식의 나무를 머릿속에 심게 되고, 이 나무들이 숲을 이루게 된다. 지식의 숲을 가진 아이는 새로운 지식을 접했을 때 능숙하고 재빠르게 처리하고 정리할 수 있다. 하나의 지식 체계를 처리해 본 아이는 낯선 분야의 지식 체계도 쉽게 처리한다. 어학도 예외는 아니다. 어학 학습 과정 역시 지식의 체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