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23년 최저임금이 결정되면서, 자연스럽게 2022 공무원 봉급표와 내년 인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올해 최저시급인 9,160원에서 5% 인상되었습니다.
2022 공무원 봉급표는 2021 공무원 봉급표 대비 1.4% 상승하였습니다. 2021년 공무원 봉급은 코로나 고통 분담을 이유로 전년 대비 1%에 못 미치는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최저시급의 경우 전년 대비하여 2021년에는 1.5%, 2022년에는 5.1%로 상승하였습니다.
2022 공무원 봉급표를 보면 급수와 호봉에 따른 기본급을 알 수 있습니다. 호봉은 1호봉부터 시작하며 근속한 연수에 따라 호봉도 올라가게 됩니다. 9급 1호봉의 경우 기본급이 1,686,500원으로 나와 있습니다.
2022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주 40시간 근무하였을 때의 주휴 수당을 포함한 세전 월급이 1,914,440원으로 얼핏 보면 9급 1호봉의 경우 최저시급보다 낮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2 공무원 봉급표의 기본급은 어디까지나 공무원이 매달 기본적으로 수령하는 기본 금액입니다. 이를 보통 본봉이라고 부릅니다. 본봉은 공무원이 실제로 수령하게 되는 월급 실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는 수당 때문입니다.
공무원에게는 다양한 수당이 존재합니다. 정근수당, 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초과근무수당, 특수지근무수당, 특수근무수당, 가족 수당 등 다양한 공무원 수당이 있는데 이런 수당들을 여러 개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수당에도 상한선이 있다?
2022 공무원 봉급표 인상에 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최저 시급 인상 폭에 비해 공무원 봉급 인상이 작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2021년과 2022 공무원 봉급의 경우 코로나로 인한 고통 분담 여파가 컸습니다.
그래서 최근 전국공무원노조가 공무원 보수위원회에 2022 공무원 봉급표 대비 7.4%의 인상을 요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유로는 최근 가파른 물가 상승을 들었습니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도 해제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2022 공무원 봉급의 인상 억제 요인 중 하나였던 코로나 고통 분담도 고려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2 공무원 봉급표의 인상을 결정할 때 공무원 노조는 4.4% 인상을 보수 위는 1.9~2.2%를 제시해 기획재정부는 2022 공무원 봉급표를 1.4% 인상했습니다.
이를 통해 2022 공무원 봉급표 대비 2023 공무원 봉급표를 예상해보겠습니다.
보수위에서는 공무원노조가 제시한 인상 요구치의 절반 혹은 이하로 기재부에 제출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기재부가 한국은행 등과 함께 내년도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7%로 계산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보면 2023 공무원 봉급표는 최소 2.7% 인상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2023년 공무원 예상 봉급표(3%인상) 공무원 봉급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부과기준 및 재산세 조회방법 (0) | 2022.07.07 |
---|---|
가상화폐 투자 빚 탕감 펙트 정리 (0) | 2022.07.07 |
서울시 안심소득 지원금 신청방법, 대상 (0) | 2022.07.06 |
2차 추경 저소득층 긴급 생활안정지원금 조건, 신청방법 (0) | 2022.07.06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신청방법 및 지급 규정 (0) | 2022.07.04 |